혹시 누군가를 만났을 때, 이유 없이 편안하거나 묘하게 끌린 경험이 있으신가요?
사람 사이의 인연에는 설명하기 어려운 힘이 작용하는데, 명리학에서는 이를 합(合)의 원리로 풀이합니다.
그중에서도 하늘의 기운이 만나는 천간합(天干合)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 특히 궁합을 보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천간합(天干合)이란 무엇인가?
천간합은 양간(갑·병·무·경·임)과 음간(을·정·기·신·계)이 서로 짝을 이루며 새로운 오행으로 변하려는 현상입니다.
이를 통해 단순한 만남이 아니라, 새로운 에너지를 창조하는 관계가 형성됩니다.
대표적인 다섯 가지 천간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갑기합(甲己合 → 토) : 중정지합, 균형과 공정의 합
- 을경합(乙庚合 → 금) : 인의지합, 의리와 단호함의 합
- 병신합(丙辛合 → 수) : 위제지합, 강렬하고 때론 냉정한 합
- 정임합(丁壬合 → 목) : 음정지합, 다정하고 따뜻한 합
- 무계합(戊癸合 → 화) : 무정지합, 특정 조건에서 금실 좋은 합
하지만 합은 단순히 글자가 있다고 해서 무조건 성립되는 것은 아닙니다.
월지, 대운의 환경이 받쳐줘야 하며, 방해 세력이 끼어들면 합이 불화(合而不化)하기도 합니다.
천간합과 궁합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것을 궁합(宮合)이라 하는데, 천간합은 특히 부부나 연인 관계에서 큰 의미를 가집니다.
일간(日干)끼리 천간합이 성립하면 서로에게 끌리고, 편안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 갑목 ↔ 기토 (갑기합) : 서로 정관·정재 관계가 되어 “원하는 이상형”을 만난 느낌. 신뢰와 안정의 합
- 을목 ↔ 경금 (을경합) : 반대 성향이 끌리는 조화. 유연함과 단단함이 보완되는 합
- 병화 ↔ 신금 (병신합) : 태양과 보석의 만남처럼, 서로의 가치를 빛나게 하는 합
- 정화 ↔ 임수 (정임합) : 따뜻한 불과 지혜로운 물이 만나, 서로에게 등불이 되어주는 합
- 무토 ↔ 계수 (무계합) : 산과 이슬의 관계, 안정과 유연함이 어우러져 금슬 좋은 합
천간합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합은 단순히 “궁합이 좋다”에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서로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를 알려줍니다.
- 갑기합은 공정함과 책임감을 배우게 하고,
- 을경합은 의리와 결단력을 키워주며,
- 병신합은 사회적 관계와 냉철함을 다듬게 합니다.
- 정임합은 온화한 조화를,
- 무계합은 인연의 끈끈함을 알려줍니다.
따라서 천간합을 알면, 단순한 연애 궁합을 넘어 내가 어떤 사람을 통해 성장하는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 합은 새로운 길을 열어주는 열쇠
사주 속의 천간합은 운명적 만남의 상징이면서도, 결국은 내가 어떻게 그 관계를 키워가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천간합이 있어도 환경이 받쳐주지 않으면 불화로 끝날 수 있고, 반대로 작은 합이라도 서로 존중하며 지내면 큰 시너지를 냅니다.
지금 당신의 사주 속 합은 어떤 관계를 말해주고 있을까요? 혹시 소중한 인연의 메시지를 놓치고 있지는 않으신가요?









